

1. 사업 개요
✅ 사업 영역: 게이밍기어, 소형가전(뉴 라이프 가전), 공공사업(교육사업)
✅ 브랜드:
- 게이밍기어 – ABKO, HACKER, COX, NCORE
- 소형가전 – OHELLA
- 공공사업 – PadBank (스마트 단말기 충전함)
💡 요약:
- 게이밍기어 분야에서 강력한 브랜드 로열티와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유
- 소형가전은 브랜드 인지도 상승이 필요함
- 공공사업은 정부 교육 디지털화와 연계해 성장 가능성이 높음
2. 주요 제품 및 서비스
✅ 매출 비중(2024년 3분기 기준)
- 게이밍기어 81.28%
- 공공사업 14.94%
- 소형가전 3.78%
✅ 가격 변동 추이
- 게이밍기어: 키보드(▼4.49%), 케이스(▼18.59%), 헤드셋(▼1.09%)
- 소형가전: 제품군 다양성으로 인해 가격 비교 어려움
💡 요약:
- 게이밍기어가 주력 사업이지만, 매출 감소 경향
- 공공사업의 매출이 2023년 대비 크게 감소한 점이 아쉬움
- 소형가전은 아직 매출 기여도가 낮아 성장 전략이 필요
3. 원재료 및 생산설비
✅ 주요 원재료 매입현황 (2024년 3분기 기준)
- 게이밍기어: 키보드(1,778억 원), 케이스(486억 원), 헤드셋(373억 원)
- 소형가전: 178억 원
- 공공사업: 513억 원
✅ 생산 방식
- 대부분 외주 제조, 일부 공공사업(충전함)만 직접 조립
- 김포에 물류센터 보유, 추가 확장 계획 있음
💡 요약:
- 원가 절감을 위한 외주 생산 방식 유지
- 게이밍기어 원재료 가격 하락 → 원가 절감 기회 가능
- 김포 물류센터 확장으로 A/S 개선 가능
4. 매출 및 수주 상황
✅ 매출 실적 (2024년 3분기)
- 총 매출: 550억 원 (2023년 대비 감소)
- 내수 비중: 99% 이상 (수출 비중 낮음)
- 공공사업 매출 급감: 2023년 대비 80% 이상 하락
✅ 판매 전략
- 게이밍기어: 온라인 플랫폼 & 대리점 중심, 가격 경쟁력 강화
- 소형가전: SNS 마케팅 & 바이럴 확장
- 공공사업: 조달청 및 학원, 기숙사 등 B2B 시장 개척
💡 요약:
- 게이밍기어 수출 비중이 낮아 해외시장 개척 필요
- 공공사업 매출 급감 원인 분석 & 대응 전략 필요
- 소형가전 매출 확대를 위한 제품 다변화 & 홍보 강화 필요
총평 & 개선점
✅ 강점
- 게이밍기어 시장 내 높은 브랜드 파워
- 원가 절감이 가능한 외주 생산 체제
- 정부 디지털 교육 확대에 따른 공공사업 성장 가능성
⚠️ 개선 필요점
- 수출 비중 확대 – 현재 내수 의존도가 너무 높음
- 공공사업 매출 감소 대응 – 교육부 사업 트렌드 분석 필요
- 소형가전 성장 전략 – 브랜드 인지도 확보 & 마케팅 강화
💡 결론
게이밍기어 강자이지만 매출 감소에 대응해야 하고, 소형가전 및 공공사업의 성장 전략이 필요함. 해외 시장 개척과 신규 사업 확장이 향후 성장을 좌우할 핵심 포인트
✅주요사항 : 25년에 상장 후 첫 배당을 실시. 2%의 배당(주당 20원)을 지급.
✅과거 주가 상승 요인 : 김포시 서울 편입 이슈
개인적 생각

세력만 붙어준다면 주가 상승 시 2100원 까지는 무난히 오를 수 있지 않을까..?
시가총액이 작기에 변동성에 유의할 것..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