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
삼성SDS는 IT서비스와 물류 두 개의 주요 사업 부문을 운영하고 있으며, 클라우드 및 AI 기반 디지털 혁신을 통해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.
1. IT서비스 부문
IT서비스 사업은 클라우드 서비스, 시스템 통합(SI), IT 아웃소싱(ITO) 세 가지 분야로 구성됩니다.
(1) 클라우드 서비스
- CSP(Cloud Service Provider): 삼성클라우드플랫폼(SCP) 제공
- MSP(Managed Service Provider): 클라우드 컨설팅, 마이그레이션, 운영 서비스
- SaaS(Software as a Service): 기업용 협업 솔루션(Brity Works), SRM(Caidentia) 제공
- 생성형 AI 서비스: FabriX(기업 맞춤 AI), Brity Copilot(업무 AI), GPUaaS(구독형 GPU 컴퓨팅 서비스) 출시
(2) SI(시스템 통합)
- 기업 업무 시스템 및 솔루션 도입을 위한 컨설팅 및 구축
- ERP, BI/CRM, 팩토리솔루션, AI, IoT 등 제공
(3) ITO(IT 아웃소싱)
- 애플리케이션 운영 및 데이터센터 인프라 서비스 제공
- 삼성 그룹 관계사 IT 통합 운영
- 글로벌 개발센터 및 원격 근무 방식 도입
삼성SDS는 클라우드 기업으로의 전환을 위해 글로벌 개발센터 활용 및 클라우드 기술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.
2. 물류 부문
삼성SDS의 물류 사업은 Cello 물류 플랫폼을 기반으로 국제운송, 내륙운송, 물류센터 운영, 프로젝트 물류까지 통합 물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- 디지털 물류 플랫폼 Cello Square 운영 (견적-예약-운송-트래킹-정산까지 원스톱 서비스)
- AI 기반 물류 데이터 분석 및 자동화
-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(36개국, 330여 개 사이트, 6,300여 명의 전문가 운영)
- 2023년부터 미국, 유럽 등 글로벌 시장으로 서비스 확대
삼성전자 및 관계사 중심으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, 글로벌 고객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.
3. 주요 실적 및 재무 정보
(1) 2024년 3분기 매출 실적
총 매출 10조 1,859억 원 (전년 대비 2.9% 증가)
- IT서비스: 4조 7,695억 원 (매출 비중 46.8%)
- 클라우드 1조 7,237억 원 (전년 대비 증가)
- SI 8,124억 원 (전년 대비 감소)
- ITO 2조 2,333억 원 (전년 대비 감소)
- 물류: 5조 4,163억 원 (매출 비중 53.2%)
(2) 지역별 매출 현황
- 국내: 3조 8,582억 원 (37.9%)
- 미주: 2조 5,663억 원 (25.2%)
- 중국: 7,079억 원 (6.9%)
- 유럽: 1조 2,041억 원 (11.8%)
- 아시아 및 기타: 1조 8,491억 원 (18.2%)
(3) 영업이익 및 자산
- IT서비스 영업이익: 5,905억 원 (84.4%)
- 물류 영업이익: 1,090억 원 (15.6%)
- 총 유무형 자산: 1조 7,361억 원
4. 연구개발(R&D) 및 특허
- 연구개발비: 1,755억 원 (매출 대비 1.72%)
- AI, 클라우드, 보안 기술 집중 연구
- 보유 특허: 2,177건 (한국 1,559건, 미국 361건, 중국 154건, 일본 50건)
- 주요 특허: 데이터 보안, AI 기반 문서 요약, 블록체인, 클라우드 구축 자동화 등
5. IT 및 물류 산업 전망
(1) IT서비스 시장
- 2024년 글로벌 IT서비스 시장 규모: 1조 5,879억 달러 (전년 대비 5.6% 증가)
- 2028년까지 연평균 10% 성장 전망 (2조 3,264억 달러 규모 예상)
- 생성형 AI, 클라우드, 빅데이터 시장 확대
(2) 물류 시장
- 2024년 글로벌 물류 시장 규모: 11조 2,510억 달러 (연평균 4.9% 성장 전망)
- AI 및 자동화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포워딩 서비스 증가
- 글로벌 공급망 운영 최적화 및 물류 비용 절감이 핵심 트렌드
6. 삼성SDS의 경쟁력
✅ 다양한 업종에서 End-to-End IT서비스 제공
✅ 클라우드 및 AI 기반 디지털 혁신 기술 확보
✅ 삼성 관계사를 기반으로 한 안정적 매출 구조
✅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 및 디지털 물류 플랫폼 운영
7. 일반인들이 삼성SDS를 잘 모르는 이유
✅ B2B(기업 간 거래) 중심 사업 → 소비자 대상 제품(X)
✅ 일반 소비자가 직접 사용하는 서비스 부족
✅ 삼성전자, 삼성생명, 삼성물산 등 계열사 IT 백엔드 지원 역할
삼성SDS는 삼성전자처럼 소비자용 스마트폰, 가전, 반도체를 만드는 회사가 아니라,
기업의 IT 인프라와 물류를 혁신하는 역할을 합니다.
일반인과의 접점이 생기는 분야는?
1️⃣ 생성형 AI & 클라우드 (소비자 접근 가능)
- Brity Copilot → MS 오피스처럼 AI 기반 업무 지원 서비스 (문서 요약, 자동화)
- FabriX → 기업 맞춤 AI 챗봇 서비스 → 향후 개인 서비스 확장 가능
- GPUaaS (AI 클라우드 서비스) → AI 개발자 및 연구자들이 이용 가능
2️⃣ 스마트 물류 & 온라인 쇼핑 (일반인에게 영향)
삼성SDS는 글로벌 물류 플랫폼(Cello Square)을 운영하며,
전자상거래, 해외 직구, 배송 최적화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.
- 해외에서 한국으로 직구 배송이 빨라지는 이유?
→ 삼성SDS의 AI 기반 물류 최적화 덕분 - 온라인 쇼핑몰에서 빠른 배송이 가능해지는 이유?
→ 삼성SDS의 AI 물류 자동화 시스템 적용
쿠팡 같은 빠른 배송 서비스?
→ 삼성SDS가 B2B 고객을 대상으로 비슷한 물류 최적화 서비스를 제공 중!
3️⃣ 보안 & 스마트 인증 (일반인이 체감 가능)
- 생체 인증 (얼굴·지문 인식) → 삼성패스 등과 연계
- 양자 보안 & 데이터 암호화 → 스마트폰, 인터넷 보안에 영향
내 스마트폰 보안이 강화되는 이유?
→ 삼성SDS가 보안 기술을 개발해서 삼성전자 기기에 적용 중!
“보이지 않지만, AI·물류·보안 혁신으로 세상을 더 빠르고 편리하게 만드는 기업”

월봉 상 바닥에 붙어있어서 하방 리스크는 크지 않아 보이지만 200,000원까지 매물대가 많아 긴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됨. 단기투자자에게는 부적합